상여금 지급 시 소득세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인사잡썰 미애군입니다.
이번엔 상여금 지급시 소득세 계산방법에 대해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참...신기하게 상여금을 받는 달엔 소득세를 평소보다 엄청 공제하는 것 같죠?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거 아니죠? ^^;;
그래서 이번엔 상여금 지급 시 소득세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리려고요~
앞으로 이렇게 계산해 보시고 아..우리회사가 잘하고 있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일반적인 소득세 공제 방법은 "간이세액 표"에 따라 공제를 하고 있습니다.
안내를 원하시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1년 근로소득세 계산 어떻게 하는지 확인해 볼까요? - https://hrstories.tistory.com/m/52
2021년 근로소득세 계산 어떻게 하는지 확인해 볼까요?
안녕하세요 인사잡썰 미애군입니다. 오늘은 우리 월급에서 매번 쏙쏙 빠져나가는 소득세! 이 소득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안내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소득계산에서 가장 중한 부분은 딱 3
hrstories.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JaUHH/btqDL4wWf1y/k8aKkqyB5MkQaOoe5XJB9K/img.png)
이렇게 간이세액표에 따라 세전 금액이 2,310,000원 ~ 2,320,000원 구간에 있는 분들은
공제대상 가족수에 따라 29,480원~2.620원까지 공제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진짜 상여금 받을 때 소득세 공제법에서 알아볼까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uRDQ/btqDIRy2FaB/mGvABXmusV1Pl1qeNBtnMK/img.png)
이렇게 보면 되게 복잡해 보이는데 쉽게 설명드리자면
제가 매월 300만원을 받고 6월달에 상여금 300만원을 받았다고 설명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Lqk9/btqDIRlHaGw/xnXbwBskXoH2y5LFrJQA0K/img.png)
매월 300만원에 대한 소득세는 84,850원을 납부하였으며 6개월간 509,100원을 납부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7w6Zp/btqDIQ1gAt1/KhDyCwqUX8HMJUeysZPmiK/img.png)
( 상여금 300만원 + 6개월 동안 받은 상여 제외 급여 1,800만원 ) / 6개월 = 350만원
350만원에 대한 소득세액은 142,220원입니다.
6개월간 변경된 소득세액은 142,220원 X 6개월 = 853,320원 입니다.
그렇다면? 변경된 소득세 853,320원 - 기존 납부한 소득세 509,100 = 344,220원 <-- 추가 납부해야 합니다.
어때요? 이렇게 보니까 쉽죠?
여기에 엑셀 계산기를 첨부하겠습니다.
다운로드하여서 언제든지 계산해보세요 ^^;;
그럼 또 언제든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고요
여러분 또 그럼 퇴근하세요~^^
'알아두면 좋은 인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업종코드 간단하게 확인하기 (0) | 2020.05.06 |
---|---|
통상임금이란? (0) | 2020.05.06 |
법정 근로시간 주 40시간? 월 209시간 산출방법 (0) | 2020.04.26 |
나의 4대보험료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 (0) | 2020.04.24 |
실업급여 수급조건의 6가지 안내 드립니다. (0) | 2020.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