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시간단축2

2025년 30인 미만 사업장 주 52시간제 전면 시행, 현장 사례와 함께 완벽 정리! 2025년 30인 미만 사업장 주 52시간제 전면 시행, 현장 사례와 함께 완벽 정리! 2025년 1월 1일부터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도 주 52시간 근무제가 전면 시행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대기업에서 시작해 점차 중소·영세 사업장까지 확대된 결과로, 이제는 거의 모든 근로자가 동일한 근로시간 기준을 적용받게 되었습니다.이 포스팅에서는 실제 현장 사례와 함께, 제도의 의미와 변화, 그리고 실질적인 영향까지 풍부하게 다뤄보겠습니다! ✨🏁 제도 시행 배경과 의미주 52시간제란?주당 법정근로 40시간 + 연장근로 12시간 = 최대 52시간 근무를 의미합니다.2025년부터 30인 미만 사업장까지 적용그동안 소규모 사업장은 인력난, 경제적 부담 등으로 계도기간(유예기간)이 주어졌지만, 2024년 12월 3.. 2025. 6. 1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과 급여 계산하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과 급여 계산하기 안녕하세요 인사잡썰 미애군입니다. 오늘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내용과 지원금 및 급여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 회사로부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부여 받아야 합니다.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시작한 날 이전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상 되어야 합니다.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은 기본 1년 보장되며,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은 추가로 단축 사용 가능합니다. - 육아휴직을 사용하셨어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년은 보장됩니다. - 육아휴직을 안하시고 단축근무만 하신다면 최대 2년까지 가능합니다.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방법 ( 회사가 먼저 접수 후 근로자가 신.. 2020. 6. 4.